닫기

- (사)한국암각화학회 로그인 화면입니다. -

자료실

숭실대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학회지(검색)

HOME자료실학회지(검색)
pISSN: 2466-0418

한국암각화연구, Vol.25 (2021)
pp.5~28

DOI : 10.54494/kpra.2021.25.001

- 한국 여성상암각화의 문화사적 가치 -

송화섭

(중앙대학교 교수, 문학박사)

후기구석기시대는 빙하기였다. 후기구석기시대에는 하천을 따라 이동하면서 수렵어로와 열매 와 곡물을 채집하면서 암굴이나 동굴에서 생활하는 방식이었다. 구석기시대 사람들은 자연환경의 불안전으로 생존의 위험을 안고 살아가야 했다. 생존 위험의 극복 수단으로 종족 번식이 요구되었 다. 종족 번식은 임신, 출산, 양육을 담당하는 여성의 책임이었다. 종족 번식을 기원하는 의미에서 임신한 여성조각상(Venus)이 만들어졌다. 유럽지역에서 만들어진 여성조각상은 유방과 엉덩이가 풍만한 여성상이었다. 이러한 여자조각상은 신석기시대에도 지속적으로 만들어졌다. 신석기시대 중기 이후에 풍만한 여성상이 날씬한 몸매의 여성상으로 변모하였다. 청동기시대에는 여성상이 암각화에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중앙아세아 일대 초원지대 유목민들 의 암각화에는 남녀가 성교하는 암각화들이 등장하였다. 그런데 청동기시대 농경사회에서도 여성 생식기가 기하학적인 도상으로 만들어졌다. 한반도 동남해안 포항 일대에서는 여성생식기 도상과 여성조각상, 기하학적인 남녀교구 도상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여성생식기 도상이 기하학적으로 변 화하는 도상이 포항 칠포리 암각화에서 발견되고 있다. 특히 칠포리 곤륜산 계곡의 여성생식기 암 각화는 실물모사형, 타원형, 역삼각형으로 제작되어 있다. 이러한 청동기시대 고인돌사회의 여성 상암각화는 한국 고유의 독특한 암각화라 할 수 있다. 한국의 여성상 암각화의 문화사적 가치가 재평가되어야 한다.

Cultural and Historical Values of Korean Women's Sangam Carvings

Song, Hwa-Seob

The Late Paleolithic was the I ce A ge. In t he L ate Stone Age, they lived in caves or caves while moving along rivers and gathering fruits and grains for hunting. People in the Paleolithic era had to live with the risk of survival due to the insecurity of the natural environment. Species breeding was required as a means of overcoming the risk of survival. Ethnic reproduction was the responsibility of women responsible for conception, childbirth and rearing. A statue of a pregnant woman was created to wish for the breeding of the race. The female statues(Venus) made in Europe were those of women with large breasts and buttocks. These female statues were continuously made even in the Neolithic Age. After the midd le o f the Neolithic period , the image of a voluptuous woman was transformed into that of a woman with a slim body. In the Bronze Age, female figures began to appear in petroglyphs. Petroglyphs of men and women having sexual intercourse appeared in the petroglyphs of nomads in the steppes of Central Asia. However, even in the agricultural society of the Bronze Age, female g enitalia(Vulva) were mad e in g eometric s hapes. I n the area o f Pohang on the southea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female genitalia, female statues, and geometric male and female sexual intercourse icons were found. An icon in which the female genital icon changes geometrically is found in the Pohang Chilpo-ri petroglyphs. In particular, the petroglyphs of the female genitalia in Chilpo-ri Kunryunsan Valley are made in lifelike shapes, ovals, and inverted triangles. These figurative petroglyphs of women of the Bronze Age dolmen society are unique to Korea. The cultural and historical value of petroglyphs of Korean women should be re-evaluated.

다운로드 (Download) 리스트(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