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 (사)한국암각화학회 로그인 화면입니다. -

자료실

숭실대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학회지(검색)

HOME자료실학회지(검색)
pISSN: 2466-0418

한국암각화연구, Vol.23 (2019)
pp.95~127

- 포항의 선사문화 : 석촉 및 석검의 기능과 인비리와 칠포리 암각화의 기원 -

강봉원

(경주대학교 문화재학과)

본고에서 포항의 선사문화를 개괄적으로 알아보고 기계 인비리와 흥해 칠포리 암각화의 기원 과 연대에 관해서 검토하였다. 이 글에서 포항지역에서 발견되는 검파형 암각화는 다른 나라 주 민의 이주와 문화전파의 산물이라기보다는 구석기시대 이래 이 지역에 거주하였던 토착인들의 독자적인 문화발전의 산물이라는 점에 초점을 맞추었다. 기계 인비리의 지석묘 상석에는 이단병 식 석검 두 자루와 마제석촉 하나가 새겨져 있다. 이 암각화가 존재하고 있는 지역에서 지석묘 의 발굴 예는 많지 않지만 다수의 청동기시대 수혈식 주거지에서 이단병식 석검과 석촉이 적지 않게 출토되었다. 이들 주거지에서 검출된 시료로 탄소연대 측정한 결과를 종합한 결과 이 지역 의 주거지는 기원전 1200년에서 기원전 600년 사이에 축조된 것으로 나왔다. 고고학적 공반관 계(law of association)와 맥락(context)을 고려하면 기계 인비리와 흥해 칠포리의 암각화도 대 략 이 시기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보았다. 암각화 연구자들의 일부는 검파식 암각화는 중국, 몽고, 혹은 시베리아 지역에 보이는 얼굴이 나 가면 혹은 태양신의 모습이 문화의 전파나 주민의 이주에 의해서 포항지역에 발생하였다고 해석하는 것에 대해 독자적인 발생으로 보는 것이 더 설득력이 있다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청동 기시대 주거지에서 검출된 마제석검과 마제석촉의 기능도 일부 암각화 연구자들이 상징, 의례, 장식, 부장의 중요성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에 대해서도 반론을 제기하였다. 이러한 해석을 전 적으로 배제하지는 않지만 포항지역의 주거지에서 출토되는 석검과 석촉을 보면 대부분 파괴된 것들이 많다는 점, 일본의 분묘에서 인골들과 석검과 석촉이 공반·출토되고 있는 사례, 반구 대 및 세계의 다른 지역 암각화에 보이는 사냥과 전투 장면,『삼국지』위서동이전에 보이는 독 화살촉의 역사적 사례 등을 제시하여 최소한 화살촉들은 사냥과 전쟁 등 실생활에 많이 사용되었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본고에서 시간과 공간의 간극이 크고 또 인간집단들이 접촉을 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동일 하거나 유사한 문화의 요소가 발생하는 현상인 ‘평행발전’(parallel development)을 강조하 였다. 포항지역의 독특한 암각화 문화는 외래 집단의 도래에 의해 생성된 것이라기보다는 이 지 역 토착 주민들의 내재적 발전 즉, 청동기시대 마제석검 손잡이를 모티프(motif)로 해서 발생하 였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모양이 변형되어 인근 지역으로 확산되었다고 보는 것이 더 설득력 이 있다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Prehistoric Culture in Pohang : Rock Art at Inbe-ri and Chilpo-ri

Kang, Bong Won

The major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ock art at Inbe-ri and Chilpo-ri in Pohang located in southeastern part of Korea. Polished stone daggers and arrowheads recovered from semisubterranean pit-houses in the study area are also analyzed and interpreted, since they are related to the chronology of the rock art. The rock art at Inbe-ri Gigye has two polished stone daggers and one polished stone arrowhead engraved on the surface of a dolmen. According to C-14 dates and the law of association, these kinds of artifacts were dated to the Bronze Age in Korea (ca. between 1000 and 600 B.C.), thus the two rock art sites can be dated to the same period. The rock art at Chilpo-ri Heunghae is composed of the motifs of polished stone dagger hilt-shape with some small pits, vulva-form, and polished stone daggers. Attempts are made to examine the function of the polished stone daggers and arrowheads collected from semi-subterranean pit-houses in association with the rock art motifs. While some Korean rock art researchers have bee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symbolic and ritual meanings of the two kinds of stone artifacts, I argued that those artifacts were used not only as utilitarian tools in hunting but also as weapons in warfare. Some Korean researchers have been assuming that the rock art in the study area may have been the outcome of either diffusion or migration from China, Mongolia, and/or Siberia. They pointed out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stone dagger hilt-shaped Korean rock art and face- or mask-like rock art discovered in those countries. This paper, however, emphasized that there had been cultural continuities Palaeolithic to the Bronze Ages in Korea in general and the study area in specific. In conjunction with this context, it is argued that the appearance of the rock art in the study area should be interpreted as the result of local indigenous people’s independent development

다운로드 (Download) 리스트(List)